1575th Wednesday Demonstration
[사진/글: 정의기억연대]
1575차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수요시위는 시드니 평화의 소녀상 연대 (FCWS, 시소연)에서 주관하였습니다.
시드니 평화의 소녀상 연대 (FCWS, 시소연) 소개: 시드니 평화의 소녀상은 미국과 캐나다에 이어 해외에서 네 번째로 2016년 8월 6일 호주 시드니에 건립되었습니다. 초기 호주에서 한인들이 일본군성노예제 관련활동을 시작한 2006년부터 2010년까지는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와 함께하는 호주친구들(FCWA)을 결성하여 호주 의회가 일본군’위안부’ 결의안을 채택하도록 정치로비와 시민 캠페인 전개에 주력하였습니다. 2016년부터 시드니 평화의 소녀상 건립운동을 통해 반전 평화운동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016년 8월 6일 ‘평화의 소녀상’이 빌크루즈 목사님이 계시는 시드니 애쉬필드 연합교회에 건립하였으며, 2020년부터는 이전의 이름인 시드니 평화의 소녀상 건립추진위원회/ 시드니 평화의 소녀상 실천추진위원회(이하, 시소추)에서 ‘시드니 평화의 소녀상 연대(이하, 시소연, Friends of “Comfort Women” in Sydney) 이름으로 NSW Fair Trading에 비영리 단체로 등록하였습니다. 현재 자원활동가 40여명이 오세아니아 지역 평화의 소녀상 건립활동, 호주의 일본군성노예제 피해 생존자였던 얀 러프 오헌 (Jan Ruff O’herne, 1923 ~ 2019) 알리기 활동, 대중의 인식개선을 위한 전시회, 콘서트, 영화상영회 개최 등 다양한 문화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사회는 시소연 임요셉 활동가님이 보았습니다.
가장 먼저 ‘호주 원주민 과거사 공식 사과(Apology to Australia’s Indigenous Peoples)’와 ‘호주 국가의 인정 (Acknowledgement of Country)’ 의례가 있었습니다. 2008년 2월 13일, 전 호주총리 케빈 러드(Kevin Rudd, 노동당)는 정부가 호주 원주민에게 가한 ‘동화정책’에 대해 국가를 대표해 유감을 표명하며 역사적인 사과를 했습니다. (참고영상: https://youtu.be/RThkO3XBThs)
이 사과의 목소리를 함께 듣고 ‘호주 국가의 인정 의례’를 함께 들으며 진정한 사과란 무엇인가 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시드니 평화의 소녀상 연대는 우리가 활동하는 호주 땅의 주인이 호주 원주민과 토레스 해협 군도민의 것임을 인정합니다. 우리는 그들의 과거와 현재의 원로 지도자들과, 호주 땅을 지키고 돌보아온 모든 후손들을 존중합니다.”
이어 여는 노래 <바위처럼>에 맞춰 시소연 회원들이 멋진 율동을 하였습니다. 캥거루 인형 탈도 쓰고 멋지게 율동해 주신 시소연 회원 여러분 감사합니다.
사회자의 주관단체 소개에 이어 정의연 이나영 이사장의 주간보고 후 연대발언과 참가단체 소개가 있었습니다. 민족문제연구소 김영환 대외협력실 실장님, 워싱턴 희망나비(대독: Eric Yun), 조선학교와 함께하는 사람들 ‘몽당연필’ 이정민 간사님, 그리고 김복동의 희망 김서경 대표님의 연대발언이 있었습니다.
다음은 얀 할머니 추모시 <늦게 핀 꽃>을 직접 지으신 신준식 활동가님이 낭독해 주셨습니다. 얀 루프 오헤른 할머니는 2019년 8월 호주에서 돌아가신 일본군성노예제 피해자이자 인권운동가입니다. 김학순 할머니의 일본군‘위안부’ 피해 공개증언을 듣고 용기를 내어 문제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하셨습니다. 2007년 미국 하원 결의안 121 채택을 위한 청문회에 참석해 일본군성노예제의 진실을 알리셨습니다.
다음은 노래 공연이 있었습니다. 시드니 민중가요 노래패 하날소래에서 <춤추는 나무> 노래를 불러 주셨습니다.
마지막으로 시소연 염종영 전 대표님의 성명서 낭독과 정의연 피우파의 <처음처럼> 깜짝 율동 공연을 끝으로 1575차 수요시위는 마무리되었습니다.
그리고 다음 주 올해의 마지막 수요시위인 2022년 돌아가신 일본군성노예제 피해자 추모와 ‘2015한일합의’ 규탄 1576차 수요시위에서 다시 만나기를 약속했습니다.
이번 수요시위 현장에는 호주 시드니 평화의 소녀상 연대(시소연), 성도미니코 선교수녀회, 김복동의 희망, 평화나비 네트워크, 평화나비 도덕지부, University of Queensland UNION, ALP CLUP UQ, 민족문제연구소, 몽당연필, 대학생 겨레하나, 예수성심시녀회, 제주 보물섬학교, 제주 평화나비, 진보대학생넷, KIN(지구촌동포연대), 역사동아리연합, 일본 간사이 네트워크, 평화디딤돌 정우창, 자립지지공동체 김미령, 이재영 님 외 여러 단체와 개인이 참가하였습니다.
온라인 댓글로는 한덕규, 박은덕, Jae-Eun Noh(호주 브리즈번), Elizabeth Hyunsook Cho(워싱턴 희망나비), 서유리아, 황정수, 포카, 조안구달, Seung il Kim, 배상규, 알마즈, jihyeong kim, Big Wave, Ha Boyi, Peter Lee(아프리카 케이프타운), Jacques, 이원석, Friends of ‘Comfort Women’ in Sydney – 시소연, Seongjoo Han, 강승연, 태지영해피kelly, 우순덕, Moses J Hahn(호주 시드니), SH Y, Soona Cho, Christine, GY 님께서 함께해 주셨습니다.
수요시위에 함께 해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무대와 음향은 휴매니지먼트에서 진행해 주셨습니다. 언제나 고맙습니다.
💪 함께 연대한 단체: 김복동의 희망, 조선학교와 함께하는 사람들 "몽당연필", 민족문제연구소, 워싱턴 희망나비
🎤 식순 및 성명서: https://issuu.com/fcws/docs/weddem_bookl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