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오마이뉴스 x Semper floreat]
12월 1일 퀸즈랜드대 여성학생회관 (Union Complex Building 21C) 에 평화의소녀상 벽화가 그려졌다.
퀸즈랜드 대 총학생회 학생신문 편집장겸 대학노동당 사무총장인 Eric Yun (윤지우) 학생은 지난 8월 시드니에서 진행된 2022 시드니 세계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기림일 행사를 통해 “브리즈번에서도 하루빨리 평화의 소녀상 건립이 됐으면 좋겠다”고 포부를 밝힌 후 5개월의 우여곡절 준비기간을 거친 후 최종적으로 학생회관 한쪽 벽면을 그리는데 허락을 받고 소녀상 벽화작업을 진행한 것.
브리즈번 평화의 소녀상 벽화는 태평양전쟁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들의 인권회복과 가해국의 진정성있는 사과를 바라는모습을 담고있다.
벽화에는 짧은머리,빈의 자, 희망을 나타내는 나비, 그리고 눈물을 흘리는 소녀의 모습 등이 그려져 있어 일본의 무력 앞에서 무참하게 무너져버린 피해자들의 슬픔과 그들의 희망을 향한 날개짓을 볼 수 있다.
이번 벽화작업에는 한국의 평화의 소녀상 조작가 김운성, 김서경의 소녀상으로 영감 을 얻었으며 순수미술 전공을 하는 Lily Ghali 학생이 참여했다.
이번 프로젝트에 공여한 윤지우 학생은 “벽화작업에 학생이 직접 함께 참여해 더욱 의미가 있었으며 다시 한번 일본군‘위안부’ 문제의 심각성을 깨닫고 역사의식을 공유하는 계기가 됐다.
극우 학생들 또는 일본정부측 항의 때문에 또다시 벽화가 훼손되거나 없어질수 있지만 이또한 그들이 감추고 왜곡하려는 그들의 역사를 그대로 기억하고 기록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한편, 3년 전인 2019년 브리즈번 교통신호제어기에 그려진 소녀상 그림이 다음 날 제거되는 아픔을 겪는 일이 있었다.
당시 퀸즈랜드대 학생들이 5년동안 방치된 욱일기그림을 문제삼아 시당국에 문제를 제기했고 이에 다른그림으로 채워넣어도 된다는 답을 받아 평화의 소녀상 그림을 그려 넣었지만 ‘정치적인 주제’라는 이유라는 답변을 받고 지워졌다.